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8, 2019 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주소창) 최우수상 리뷰
    Spec: career & experience/Contest 2021. 1. 30. 13:00

    필자는 참가한 2018, 2019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이하 주소창) 장려상, 최우수상 수상자 강명석이다.

    굳이 인증을 해야할까 라는 생각도 했지만 인증을 하겠다.

     

    주소창의 전반적인 느낌

    나만 그런건지는 모르겠으나 조금 재미있고, 전문적인 프로젝트를 하는 느낌이었다. 
     가장 좋은 점은, 실제 삼성 임직원과 맨토링을 할 수 있다는 점이며, 2019에는 이 프로그램 때문에 대회를 나갔다 할 수 있을 정도로 긍정적인 부분이었다.

     또한, 주소창은 PPT(발표)에 핵심을 둔다는 것 또한 매우 만족스러웠다. 일반적으로는 문서로만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대회는(물론 문서 작성또한 어느정도 있지만, ) 내 프로젝트를 직접 구현하고, PPT로 발표하는 기회가 총 2번 있었다. 실전과 발표를 매우 좋아하는 나로써는 너무나 좋은 구성이었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발표를 두려워하는 이에게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을 것 같다.

     총평은, 매우 만족스러운 대회이다. 대회의 상장뿐만 아니라, 나의 성장 기회로 노려 지원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실제로 2019년에는 대회 상 보다는 프로그래밍 실력 향상과 멘토링과 우리의 프로그램의 개선이 우선시 되었다.)

     

    초반

    초반의 핵심은 "문서"이다. 어쩔 수 없이, 약 2000개의 팀을 모두 세세하게 평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초반부터 1 ~ 2회까지는 내가 작성한 프로그램 관련 문서가 가장 중요하다. (문서 양식은 매번 바뀌는 것 같은데, 대략 비슷한 느낌을 보인다) 이거에 관해서는 별로 할 말이 없다. 그저 우리가 아는 워드 문서를 정성스럽고, 구체적이게 작성하면 된다.

     

    후반

    후반부터는 이제 본격적인 구현과 계획발표를 하게 된다. 내가 구상한 프로그램을, 또는 만들고 있던 프로그램을 다른 분들과 의견을 나누며, 계획처럼, 또는 계획보다 구체적이게 만들면 된다. 이때, sofrware과 hardware를 모두 구체적으로 만드는 점이 중요한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프로젝트 평가기준이, sw평가 항목과 hw평가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 같다. 우연일지도 모르겠으나, sw에 집중해 수많은 알고리즘 접목 + 극 극 심화 응용 한것 보다 sw에 적당한 자작 알고리즘 + sw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hw가 결과가 훨씬 잘 나왔다.

     * 참고로, 중등부, 고등부끼리는 매년 심사위원들이 같은 것 같다. 2018년에 대회 진출하고 2019년에 또 진출하니 알아보더라

     

    주의사항

    1. 대회기간 : 대회 기간이 매우 길다. 대회기간이 반년 정도로 매우 길다. 그만큼 내 프로그램에 애정을 쏟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만큼 대회 기간이 길면 필연적으로 중간고사, 기말고사 기간과 겹치게 된다. 즉, 대회를 하는 중에 시험을 치를 수 있다. 필자의 경우, 기말고사 1주 후에 올림피아드, 3일(정확히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앞에 주소창 시험이 있던 경험이 있다. 그래서, 필자 또한 주소창 대회를 중1, 중2떄만 나가고, 중3때는 영재고 준비한다고 나가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 (물론 영재고는 떨어졌다)

     

    2. 발표시간 : 발표시간을 정확히 재고, 시간을 넘으면 자른다. 물론 이가 당연한 거지만, 의외로 발표장 앞에서 발표시간 맞추기가 쉽지 않다. 필자의 경우에는 처음 대회를 지원했을 때, 연습할때는 1분이 남던 발표가 시험장에서 2 ~ 3분이 남았던 적이 있다. 

    총평

    계획하던 프로그램이 있고, 시간이 꽤 남는다면 무조건 지원해라. 떨어진다 해도 손해볼 것은 전혀 없다. 오히려 내가 구산한 계획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회이다.

     

    아래는 내가 했던 인터뷰이다. 많은 정보를 담고있다 생각하지는 않지만, 관심이 있는 학생분들은 그래도 어느 정도의 정보가 있고, 이 사이트 자체도에 정보가 많으니 한번 둘러보기를 바란다.

     

    https://www.juniorsoftwarecup.com/Blog/Detail/238?pageidx=2&dtlGbn=7

    'Spec: career & experience > Con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에 끝내는 scpc 2024  (0) 2024.07.08
    ~2021까지 나갔던 모든 대회 정리  (0) 2021.05.29
    KOI 2020 2차 본선 리뷰  (0) 2021.02.13
    KOI 2020 1차 예선 리뷰  (0) 2021.02.06
하면된다 學業報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