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research & education/Research

ESP32 포트 인식이 안 될 때 의심할 수 있는 문제

KMS studio 2024. 8. 28. 17:28

Arduino를 사용할 일이 생겨 esp32를 구매해보았다. [각주:1]

Esp32의 포트 인식이 아예 안 돼 애를 많이 먹었다. 심지어 좀 특이한 문제라서 이 문제 해결하는데 하루를 통째로 날렸다.

나중을 위해 Esp32 포트 인식이 실패했을 때 의심할 수 있는 문제들을 리스트업 해둔다. [각주:2]

 

a. CP2102 드라이버 설치.

ESP32는 CP2102또는 CH340 드라이버를 필요로 한다. 만약 ESP32를 구매할 때 별다른 안내를 받지 않았다면, CP2102를 사용한다. CP2102 드라이버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 Silicon Labs - CP210X driver download ]


OS에 맞춰서 CP210X Window drivers 또는 VCP Mac OSX Driver를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다운로드 된 zip 파일을 압축해제하고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installer를 실행한다. 

 

Windows 기준으로 설치확인은 아래 경로에서 할 수 있다.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 Windows Driver Package - Silicon Labatories Inc.

 

b. CH340 드라이버 설치

만약 구매처에서 CH340 칩의 사용을 안내하고 있다면, CH340 드라이버를 다운로드받아야 한다. CH340 드라이버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 Gogo Tronics - CH340 driver download ]

 

마찬가지로 OS에 맞춰서 다운로드를 받은 뒤, 압축을 해제한다.

압축 해제 후, Installer를 실행해 설치를 진행한다.

 

c. USB 2.0 사용

ESP32는 기본적으로 Micro B 규격의 USB 포트를 사용하지만 요즘은 C type USB가 달려서 나오는 제품도 있다.

이 경우 주의할 것이, 사용하는 USB 케이블이 3.0 이어서는 안 된다. (초기의 3.0 케이블)

만약 ESP32에 USB를 연결했는데 인식이 안 되는건 물론 ESP의 PWR LED에도 불이 안 들어온다면 이 경우다.

USB 2.0 케이블을 사용해서 연결해야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d.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USB 케이블 사용

저가형 충전케이블의 경우 전원선만 존재하고 데이터 전송 선이 없는 경우가 있다. [각주:3]

당연하게도 데이터 전송이 되지 않는다면 ESP32 인식이 되지 않으니 데이터 전송이 되는 케이블을 사용하자.

핸드폰에 케이블을 꽃았을 때 "연결을 허용하시겠습니까?"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케이블이라는 뜻이다.

 

 

  1. 요즘 Arduino는 outdated되었다길래 [본문으로]
  2. 나같은 경우는 usb 3.0을 사용해서 문제가 발생했던 거였다. 아니 왜 3.0은 안 되고 2.0은 되는건데 [본문으로]
  3. 당연하지.. 필요가 없으니까 [본문으로]